[리포트] 강원RISE 조기 안착하려면? ::::: 기사
본문 바로가기

[리포트] 강원RISE 조기 안착하려면?

◀ 앵 커 ▶

지역 중심의 대학지원사업, 

강원 RISE (라이즈) 사업의 윤곽이 나오면서 

기대도 있지만 우려도 있습니다. 


지역과 대학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처음 해보는 사업이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소통 창구 마련이 우선 과제입니다.


박은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강원 라이즈센터가 출범하고 

기본계획 초안에 대한 간담회와 수요조사, 

의견 수렴이 이어지면서 

가장 많이 나온 우려는 불균형 문제입니다. 


반도체, 바이오, 수소 등 핵심 산업과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아 


관련 인프라를 갖춘 특정대학, 특정 시·군으로 

쏠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신산업과 거리가 먼 전문대학들은 

지역산업 구조에 맞는 

실용 기술 교육 위주의 성과를 반영해

사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건의하고 있습니다.


◀ INT ▶ [최근표/강원도립대 라이즈본부장]

"기존에 가지고 있는 인프라 그러니까 인프라에 대한 부분들이 현재 큰 대학하고에 대한 차이점은 현재 있는 것 같거든요. 분명히 있고요.


지역을 떠나지 않고 정주하는 

인재 양성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지역 대학과 산업, 지자체가 

모두 협업해야하는 만큼 

대화 창구, 소통 공간에 대한 요구도 많습니다. 


사업을 준비하는 시점부터 사업을 진행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모든 과정에 

벽이 없는 소통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 INT ▶ [이충일/강릉원주대 산학합력단장]

"어떤 성과를 가져가려면 그 성격이 다른 각각의 기관들이 협력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무엇보다 아마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리라고 생각이 들고요." 


직접 계획을 세우는 강원도나 교육부와 

사업 경험이 많은 대학들과 비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일선 시·군과 기업에 대한

연계 방안도 중요합니다. 


시범지역으로 먼저 운영 체계를 구축한 

경북을 보면 시·군별 특화 산업과 기업, 

대학, 고등학교까지 

계열화작업을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 INT ▶ [김병태/경북연구원 연구위원] 

"시군별로 잘하는 주력사업을 1개를 빼내고 거기에 잘하는 앵커기업과 연계해서 대학의 특성화학과, 학부와 연결하고 고등학교까지 연결하는..."


7월 출범한 강원라이즈센터는 

강원인재원 산하에 10여 명으로 구성돼, 


아직 조직 규모나 인사, 예산 등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전문가들은 공무원들의 인사 이동이나 

선출직 단체장에 따른 

정책 변경 우려 등을 고려해, 


대학을 중심으로 한 라이즈센터의 

독립성·전문성 확보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박은지입니다.(영상취재 최기복)

◀ END ▶


*이 기사는 MBC강원영동에서 제작했습니다. 


박은지

 카톡 뉴스제보 인제군 양구군                                                

 화천군 홍천군청  춘천시 

 신한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