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를 여는 시민단체 후원 계좌를
압수수색해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정선의 한 후원자도 2년 전 1만 원을 보냈다가
계좌 압수수색을 당했습니다.
박은지 기잡니다.
리포트
정선에 사는 50대 가장 김시래 씨는
최근 정선농협에서 통보서 1장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10월 24일 서울경찰청으로부터
금융거래정보 제공 요청을 받아 다음 날
김 씨 인적사항을 전달했다는 내용입니다.
황당한 김 씨가 이유를 따져 묻자
촛불행동 계좌에 후원금을 보낸 게 문제라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2년 가까이 지난 2023년 5월의 일인데
김씨는 통장을 뒤져보고서야 알았습니다.
[농협 관계자]
"예전에 촛불행동 관련해서 뭐 하신 게 있으시잖아요 입금하신 게 있으셨잖아요. 그거 관련해 가지고 저희한테 인적사항만 요구를 해 가지고..."
촛불행동은 2022년부터 윤석열 대통령 퇴진
집회를 주도적으로 열고 있는 단체입니다.
김 씨는 촛불행동 회원은 아니지만 몇번 집회에 동참하고 만 원 소액 후원을 한 게 무슨 수사 대상이 되냐고 되물었습니다.
[김시래 /촛불행동 개인 후원자]
"달랑 만 원 한 거 가지고 내가 백만 원 천만 원씩 몇 억씩 한 것도 아니고 뭐 어떻게 하겠다는 거예요. 아니면 이걸로 압수수색해서 별건 수사해 가지고 탈탈 털겠다는 것인지..."
대통령에 반대한다고 해서 표적 수사 대상이
된 것이라는 의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촛불행동 외에 대통령에 찬성하는 보수 집회나 최근 극우 유튜브 채널 등의 후원 계좌는 왜 문제가 안되냐는 겁니다.
앞서 경찰은 촛불행동이 회원이 아닌 사람들에게 1천만 원 이상 후원금을 받으면 기부금품법 위반이라며 압수수색 이유를 밝혔습니다.
촛불행동은 최근 개인정보 사실 통지를 받은
후원자들과 함께 서울중앙지검에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를 직권남용 혐의로 고소했습니다.
MBC뉴스 박은지입니다.(영상취재 양성주)
*이 기사는 MBC강원영동에서 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