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원주 관광지 장애인·이동 약자에겐 '글쎄' ::::: 기사
본문 바로가기

[리포트]원주 관광지 장애인·이동 약자에겐 '글쎄'

앵 커 

 높은 문턱이나 계단은  

이동 약자들에게 장벽일 수 밖에 없습니다.


 관광에서 이런 장벽을 없애는 '배리어 프리',

'열린 관광'을 지향하는 지자체들이

늘고 있는데요.


 하지만 원주의 주요 관광지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이병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소금산 그랜드밸리 케이블카가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운행됩니다.


출렁다리에서 시작된 간현 관광지의

관광단지화 전략에 마침표를 찍는 겁니다.


특히 케이블카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나

고령자, 유아차 이용자 등 이동 약자도

동등하게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습니다.


[이병선 기자]

"케이블카를 타고 도착하면 곧장 출렁다리 

앞입니다. 이곳에서부터 유아차를 가지고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진입로는 적당한 경사로로 돼 있어

충분히 오갈 수 있고, 경사로가 없던 곳도

추가로 설치했습니다.


출렁다리를 건너는 대신 우회로로 

건너편 하늘정원까지 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유아차를 몰고 가보면

쉴새없이 계단이 나타납니다.


결과적으로 휠체어 이용자는 계단을 

넘을 수 없고, 유아차 이용자도 불편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올 만큼의

값을 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번에는 아직 조성 중인 바람길숲입니다.


지난 몇 년 간 폐선로를 활용해

만든 산책로인데, 중앙시장부터

봉산동으로 넘어가는 주요 코스는

이동 약자를 위한 엘리베이터와

경사로가 잘 조성돼 있습니다.


다만 초입에 해당하는 우산동 일대는

군데 군데 찻길을 건너면서 턱을 만나거나,

야자매트 위로 지나야 하는 점이 장벽입니다.


[이병선 기자]

"강원감영은 평지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입하기가 수월하지만, 저렇게 문턱이 

있는 곳에는 경사로가 없고, 휠체어가 올 수 

있는 곳에서는 바퀴가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원주의 대표적인 유적이면서

시내에 있기 대문에 접근성이 좋지만,

휠체어 이용자는 일부분만 자유롭게 다닐 뿐

불편함을 겪어야 합니다.


[ CG ]

원주시 관계자는,

"소금산 그랜드 밸리는 하늘정원까지

이르는 구간에 단차가 많아서 무장애로

만들기가 어렵다"며,


"거동이 가능한 고령층도 관광을 할 수 있게

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 

"관광지들의 소관 부서가 모두 달라

일괄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기 쉽지 않은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지자체의 의지 문제에 가까운

무장애 관광지 조성이 아직까지는

원주에서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MBC 뉴스 이병선입니다.


*이 기사는 원주MBC에서 제작했습니다. 

이병선

 카톡 뉴스제보 인제군청 양구군        

 화천군 홍천군청  춘천시 

 신한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