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강원대-강릉원주대, '1도 1국립대학' 결과는? ::::: 기사
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강원도

[리포트]강원대-강릉원주대, '1도 1국립대학' 결과는?

◀ANC▶



강원대학교와 강릉원주대학교의

'1도 1국립대학' 추진을 위한

찬반 투표가 시작됐습니다.



글로컬대학30 사업 지정 필수 절차인데요.



강원대는 투표 시작 직전에 공청회를 열고

마지막 설득작업을 펼쳤습니다.



김도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강원대가 글로컬대학30 사업 지정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습니다.



5년간 1천 억 원을 받게 되는 사업이다 보니

대학의 운명이 걸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공청회 연사로는

김헌영 총장이 직접 나섰습니다.



'1도 1국립대학'을 모델로

캠퍼스별 특성화 전략을 내세우고

글로컬대학 지정 필수 과정인

통합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SYNC ▶

김헌영 / 강원대학교 총장

"(통합이 안 되면) 2차 연도에 우리가

신청을 해야 하는데 2차 연도에는

총장 선거와 맞물려서 준비 과정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수회는 대학의 자율성이 크게

침해받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통합 이후 최상위 의결 기구인

대학위원회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실행계획서에 따라

도지사가 공동위원장을 맡게 되면

의사결정 과정이 정치에 휘말릴 수 있다는

이유입니다.



◀ SYNC ▶

박태현 / 강원대 교수회장

"선출직 지자체장의 권한에 따라서

대학 예산 배분 이런 것들이 이제

정치판에 휘둘리게 된다.

이렇게까지 극단적으로 말씀을 하십니다."



교직원들은 고용 안정 대책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학생회는 현재도 심각한 문제인

캠퍼스 간 학생 갈등이 격화될 것을

우려했습니다.



◀ SYNC ▶

심주성 / 강원대 삼척·도계캠퍼스 총학생회장

"통합이 된다면 4개 캠퍼스로 운영될 테고

그렇게 되면 갈등이 줄어들기보다는 조금 더

고착화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학교와 지자체가 손잡고

지역과 대학 소멸 위기를

함께 극복하기 위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기초 자료 공개는 물론

시민들의 질문도 받지 않아

'불통'이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공청회 종료 직후

강원대와 강릉원주대에서

'1도 1국립대학'을 위한 온라인 투표가

동시에 시작됐습니다.



교수, 직원, 학생 각 주체별로

찬성 비율이 50%를 넘으면서

전체 평균 찬성 비율은 60% 이상이어야

통합 추진이 가능한데,



통합 반대로 결론이 나면

글로컬대학 1차년도 사업 선정은

사실상 어려워집니다.



◀ st-up ▶

글로컬대학 지정 선결 과제인

'1도 1국립대' 추진 찬성 여부에

지역사회와 대학 구성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도균입니다.(영상취재:최정현)



◀END▶



#강원대 #강릉원주대 #1도1국립대학 #글로컬대학 #통합
김도균
춘천MBC 김도균기자입니다. 경제와 체육, 인제군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카톡 뉴스제보 인제군 양구군 화천군 

강원랜드 기업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