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 유명무실 ::::: 기사
본문 바로가기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 유명무실

◀ANC▶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 들어 보셨습니까.



장애인이 지역의 의사 1명을 정해

주기적으로 진료와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제도인데, 원주에선 중증장애인의

1%만 이용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제도 확대에 나섰는데

현장에서는 제대로 시행도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황구선 기잡니다.

◀END▶

◀VCR▶

뇌병변 장애로 시설에 머물다

작년 자립한 최원석 씨.



시설 도움 없이 스스로 건강관리를

하기 위해 담당 의사가 주기적으로 진료를

해 주는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를

알아봤습니다.



원주에서 장애인 건강주치의를 시행한다고

등록된 병·의원은 원주의료원 등 단 3곳.



(S/U) 최씨는 이중 평소 진료를 봤고,

휠체어 접근도 편리한 원주의료원에 제일먼저

문의했지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었습니다.



상담 창구도, 원무부서도 제도를 몰라

힘들게 담당 부서를 찾았지만 사실상

주치의 제도가 시행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INT▶

"안내데스크에서 원무과에 가서 물어보고,

원무과에서도 모르니까 또 (다른 부서로

가야했고)"



대신 지역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

운영하는 한 의원에서 방문 주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는데,



이마저도 휠체어를 타고서는

접근이 어려워 담당 의사의 방문에만

의존해야 합니다.



◀INT▶

"방문진료를 병원 문을 닫고 갔다 오는 동안에

진료는 또 공백이 생기니까"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는 2018년 처음

도입됐습니다.



건강관리가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이

의사 1명을 정해 만성질환과 장애관련

건강상태를 관리받게 하겠다는 취집니다.



하지만 원주의 중증장애인 5천명 중

이용자는 50여 명, 단 1%에 불과합니다.



원주에서 장애인 건강주치의로

등록된 의사는 단 7명.



장애인 가정 방문진료 어려움과

시설개선 비용 등을 이유로 실제

활동중인 의사는 훨씬 적습니다.



"사실 열정적인 의사 한 두명이

대상자 50명을 모두 맡고 있다는"게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제도를 시행한 보건복지부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병·의원의 관심과

지자체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INT▶

"많은 병원들이 참여를 해 주시고 의사

선생님들이 관심을 가져주는 게 저희들은 제일

좋죠"



대상 중증 장애인의 1%만

이용하는 장애인 주치의 제도.



중증장애인에서 발달장애와

정신장애까지 대상을 확대하겠다는

석달전 정부의 발표가 아직은 공허해 보입니다.



MBC 뉴스 황구선입니다//(영상취재 박영현)
황구선

 카톡 뉴스제보 인제군 양구군                                                

 화천군 홍천군청  춘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