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보도:기자출연] 임업재해, 그 이유와 대책은?
<앵커>
이번 임업 재해 현장을 취재한
이승연 기자와 이야기 더 나눠보겠습니다.
이 기자, 산업재해라고 하면, 대체로
건설 현장이나 공장이 떠르는데,
임업 현장에서도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하나요?
<이승연 기자>
네, 우리나라는 국토의 60%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산에서 하는 작업도 그만큼 다양하고 많은데요.
문제는 이런 현장에서 다치거나 죽는 사람이 매년
천 명씩 나온다는 겁니다.
제가 이번 취재를 하면서
재해 현장에 직접 가보기도 했는데,
일단 차로 접근할 수 있는 곳이 없었습니다.
대체고 가파른 비탈면이어서,
계속해서 미끄러지고 넘어지기 일쑤였고요.
이런 곳에서 무거운 나무를
자르고 옮겨야 하니 치명적인
인명사고가 많은 겁니다.
반면, 재해가 발생해도
빠른 구조를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소방 구조 전문가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시죠.
◀ 전화 INT ▶
조병삼/정선소방서 지휘팀장
"임업 현장은 아무것도 없어요.
표지판도 없고. 저희들이 관리하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실제 한 5배 정도,
5배에서 10배 정도는 더 지연이 되죠."
<앵커>
그런데, 모든 산업 현장에는
위험 요소가 있지 않습니까?
그래서 각 현장에 맞는 안전대책도
마련하는 건데, 임업 현장은 어떻던가요?
<이승연 기자>
제가 취재한 재해 현장에서는
그 안전 대책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관계 기관들은 안전 조치를 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에,
노동자 개인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취재를 거듭할수록 재해를 심화시키는
구조적 문제가 드러났습니다.
일단, 매년 대규모 산림 사업을
추진하는 산림청에서 책정하는
안전비용이 너무 적었습니다.
건설현장의 최저 기준에 불과한 수준이었습니다.
또, 사고 발생 시 빠른 구조요청을
위한 2인 1조 작업 원칙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습니다.
결국 임업재해 사망자의 70% 이상이
아무도 모르게 사고를 당하고
뒤늦게 발견되는 이유입니다.
게다가 현장 노동자의 고령화까지
겹치면서 재해 대처 능력까지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앵커>
그럼, 이런 임업 재해를 줄이려먼
어떻게 해야 하죠?
<이승연 기자>
현장의 안전을 노동자 개인과
영세한 사업장이 책임지는
지금의 상황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특히 임업현장에서 2인 1조 작업과
응급처치 교육은 법제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해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구조 방안도
시급히 개발해야 하고요.
또, 산림청은 주관 사업장의 재해 피해자가
대부분 영세한 사업장의 고령 비정규직인 만큼,
현재 사업 방식을 점검하고,
임업 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그래야 고령화가 심각한 임업 현장이 안전하게
지속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앵커>
네, 임업 재해의 이유와 대책 들어봤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