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 커
내년 3월 '통합 강원대학교' 출범을 앞두고
통합안 제출 시한이 오는 20일로 다가오면서,
대학 구성원들에게 통합 구상안이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직원 정원과 학과 개편에 대해
대학 간 입장차가 팽팽해
의미있는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하면서,
차라리 통합을 포기하자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김도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내년 3월 '통합 강원대학교' 출범을 앞두고
강원대와 강릉원주대가 협의 중인
통합 구상안입니다.
먼저 조직도를 보면 1명의 총장 아래
춘천, 강릉, 삼척, 원주 캠퍼스를 운영할
4명의 캠퍼스총장이 배치됩니다.
각 2개 대학에 있는
대학본부 공무원 200명은
통합 이후 춘천에 94명,
강릉 56명, 삼척 27명, 원주에 23명이 배치돼
춘천과 원주는 늘고 강릉은 줄어듭니다.
지자체와의 협력 강화를 위해
강원도 경제부지사와 각 캠퍼스 소재 시장,
산업계 인사가 포함되는
대학위원회도 신설됩니다.
이번엔 학과 개편안입니다.
핵심 통합학과로 선정된
춘천과 원주의 컴퓨터공학과와
기계공학 관련 학과는
춘천 캠퍼스에서 주관합니다.
삼척과 원주의 사회복지학과는
원주로 통합되는 등
'글로컬 통합학과'로 선정된
8개 학과는 1개 캠퍼스에 2개씩 묶어,
총 4개 학과로 합쳐집니다.
학사 계획 등을 주도하는
주관 캠퍼스가 정해지지만,
정원 이동도 없고
신입생 모집부터 졸업까지
학과 운영은 각 캠퍼스가 독립적으로 하게 돼,
통합의 의의가 적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 재학생 수가 3천 명 이상 차이 나는
삼척과 원주의 행정 조직이 동일한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비판도 제기됐습니다.
이다은 / 강원대 경제학과 3학년
"일단 중심은 항상 인구수나 학생 수나
캠퍼스가 가장 큰 춘천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강원대는 강원원주대와 협의 중인
이번 통합안이 확정안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정진근 / 강원대 기획처장
"지금 양교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계속 그 여러 가지 조건들을
협의를 하는 중이거든요."
하지만 통합안 제출 시한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오는 20일까지 교육부에
통폐합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지원금이 50% 삭감될 수도 있습니다.
MBC뉴스 김도균입니다.(영상취재:추영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