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포획 위주의 야생동물 정책 한계 = 투 ::::: 기사
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R)포획 위주의 야생동물 정책 한계 = 투

◀ANC▶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대책들이
마련돼 시행되고 있습니다.

피해방지단, 순환수렵장 등
포획위주의 대책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피해가 매년 반복되고 있는 만큼,
새로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권기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강원도내 야생동물 피해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피해 건수도 늘고 있지만,
면적의 경우 2017년 3백만 제곱미터에서
1년 만에 4백만 제곱미터를 넘어섰습니다.

피해농가 보상금액도 5억 원이 늘었습니다.

주로 많은 피해를 주는 멧돼지와 고라니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매년 피해방지단을
꾸리고, 순환수렵장도 운영하며
포획에 나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지단 운영과 포획수당 등 도내에서만
한 해 1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하고도,
십 수년째 피해는 반복되고 있는 상황.

◀INT▶ 박종대 / 원주시 흥업면
"농민들 입장에서 이게 매년 반복되는 걸, 이걸 정책적으로 생각을 바꿔야지 개선이 되는 거지, 매년 반복되는 이야기만 하면 이게"

제주도의 경우 무분별한 포획활동으로
야생 노루의 개체수가 급감하자
최근 유해야생동물에서 해제하고
포획을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포획 허용기간 동안 개체수는 급감했지만,
농가피해는 일부 늘기도 해 포획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INT▶ 이영웅/제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지속적으로 노루를 잡다보니까 적정 개체수 미만으로 크게 떨어진 상황이거든요. 노루에 대한 유해야생동물 지정 이 부분이 정책적으로 실패했다라고 볼 수밖에 없는"

제주를 제외하면, 전국적으로 고라니나
멧돼지 등 야생동물 개체수나 서식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지자체도 찾아보기가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INT▶ 김백준 / 국립생태원 연구원
"보존이라는 측면과 관리라는 측면을 잘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기초적으로 자료 조사가 필요하고요. 그걸 기반으로 사람들의 협의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야생동물 포획의 효과가 기대에 못미치고 있고,
총기사용으로 인한 각종 사고에 민원들까지
속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포획 위주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보입니다.

MBC뉴스 권기만입니다.
권기만

 카톡 뉴스제보 인제군 양구군                                                

 화천군 홍천군청  춘천시